본문 바로가기
건강

눈 다래끼 원인, 종류,예방법

by 아자아자a 2024. 7. 24.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일상생활 중에서 한 번씩 찾아올 수 있는 눈에 대해서 적어보았습니다.

눈꺼풀에는 피부와 여러 분비샘이 있습니다.

눈꺼풀 바깥쪽으로 속눈썹 주변에 땀 분비하는 샘, 기름 성분을 분비하는 피지샘,

안쪽에는 눈물층의 기름 성분을 분비하는 마이봄샘 등이 있습니다.

눈 다래끼는 눈 주위에 나타나는 짙은 색의 작은 반점이나 어두운 부분을 가리키고 있습니다.

세균감염으로 발생하는 눈꺼풀 분비샘에서 고름이 생기는 염증을 말하는 것을 말하고 있습니다.

심해지면 고름이 잡히고 안과까지 가서 치료를 받는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원인

 

위생상태: 눈을 자주 만지는 습관이나 청결하지 않는 손으로 눈꺼풀로 들어가서 생기는 것입니다.

특히 렌즈 사용하시는 분은 손을 제대로 씻지 않고 하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눈 화장품이나 다른 사람 화장품을 쓰면 감염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특히 손톱에는 세균이 많기 때문에 항상 손을 깨끗이 씻고 손톱을 관리를 철저히 하셔야 합니다.

 

머리카락: 머리가 너무 길어서 눈을 찌를 경우, 속눈썹이 긴 경우 자극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눈 질환: 안구 건조증이나 눈꺼풀염과 같은 만성적인 염증일 경우 눈이 약한 상태라서 세균감염이

금방 나타날 수 있습니다.

 

 

유전적 요인: 가족 중 다래끼가 있는 경우 개인적으로도 발생할 가능성이 높을 수 있습니다.

 

수면 부족: 충분한 수면을 하지 않으면 피로가 눈 주위에 나타나게 되어 다래끼가 생길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와 피로: 스트레스와 지속적인 피로는 피부 상태를 나빠지게 하고, 눈 주위에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알레르기: 눈 주위의 피부가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경우, 염증이나 멍이 생기면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꽃가루, 먼지, 아토피성피부, 햇볕 등 생길 수 있습니다.

 

안구 건조: 눈 주위의 피부가 건조해지면 색소가 짙어져 다래끼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나이와 피부 탄력: 노화에 따라 피부의 탄력이 줄어들면 눈 주위의 피부도 더욱 얇고 상처가 쉽게 생길 수 있습니다.

 

 

면역력 떨어짐:  면역력 떨어진 상태에서는 세균 감염이 빨리 나타날 수 있습니다.

잠이 부족한 경우에 피로감이 영양을 주기 때문입니다.

면역력이 약해지면 신체에 다양한 문제가 생기고 나쁜 세균들이 우리 몸을 나빠지게 할 수 있습니다.

 

식습관: 지방량이 많은 식품이 영향을 많이 주고 있습니다.

아이스크림, 버터, 초콜릿 등 있습니다. 

최대한 신선한 과일, 채소 등 골고루 챙겨서 먹는 것이 좋습니다.

 

 

종류

 

겉다래끼: 눈꺼풀 가장자리 전체가 붓는 것입니다. 

물샘, 짜이스샘에 생기는 급성 화농성 염증입니다.

 

속다래끼: 안쪽 하얀색, 노란색 농양점이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마이봄샘에 생기는 급성 화농성 염증 입니다.

 

콩다래끼: 딱딱하게 만져지고 붓거나 아픈 것은 없는 것입니다.

마이봄샘에 입구가 막혀서 생기는 비감염성 염증입니다.

 

예방법

 

 

충분한 수면: 일정한 수면 패턴을 유지하고 매일 충분한 수면을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수면 부족은 피로와 스트레스를 증가시키며 눈 주위에 다래끼를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건강한 생활 습관: 규칙적인 운동과 규칙적인 식사를 통해 신체의 건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건강한 식습관은 피부 상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 관리: 스트레스는 눈 주위 피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효과적인 스트레스 관리 기술을 배우고 일상생활에서 실천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알레르기 관리:  알레르기가 눈 주위 피부에 영향, 알레르기를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하는 물질을 피하고 약물 치료를 받는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피부 관리: 눈 주위 피부를 보호하고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드럽고 보습이 충분한 안료 없는 제품을 사용하여 피부를 자극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합니다.

 

위생관리: 눈을 만지거나 비비지 않는 것, 자주 손을 깨끗이 씻어서 감염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화장품 제한하기: 눈 화장을 대도록 피하고 사용하는 화장품 유통기한 확인하고 깨끗하게 사용하는 것입니다.

 

차가운 압박: 눈 주위에 차가운 스푼이나 냉수를 사용하여 부종을 줄이고 피부를 진정시키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름철 일광화상?  (0) 2024.07.26
귀 염증  (0) 2024.07.25
소아 당뇨는?  (0) 2024.07.21
혈전  (0) 2024.07.20
자궁근종 증상?  (0) 2024.07.19